주제 선정 이유 : 스타트업 환경이 기존 다른 기업의 형태와 다른 점, 그에 따라 지원하거나 근무하는 구성원의 목적 및 기대치 또한 다를 수 있어 특화된 동기 부여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가설 수립
접근법 (한페이지)
스타트업과 다른 기업 형태와의 비교를 통한 스타트업 환경 및 상대적 차이에 대한 구분
실제 구성원 설문을 통한 핵심 니즈 및 기대 가치 도출
구성원 기대 가치 기반 현재 스타트업 환경에서의 동기 부여 전략 수립
분석
스타트업과 다른 기업 형태의 비교 (스타트업은 어떻게 다른 가, 문헌 및 케이스 기반 비교 방식의 슬라이드 구성)
구성원 지원 제도(연봉, 스톡옵션, 교육, 복지 등) -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에 추후 하이 리턴 방식, 복지 지원 제도 차이
역할, 권한 부여 방식(직급 체계 포함) - 빠른 시간 내에 큰 권한 부여 및 역할 수행
커뮤니케이션 방식 - 단계별이 아닌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통한 개별 직원의 중요성 강조
기업 형태별 실제 구성원 설문 결과
이직 시, 그리고 현재 회사의 대한 불만 비교(스타트업 VS 그외, 순위별) : 제한적 권한 및 역할, 체계없는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답변 높음
회사의 의미 비교(스타트업 VS 그외, 워드클라우드로 표현) : 자아실현, 성장, 도전, 인정에 대한 답변 높음
(TBD) 회사를 다니면서 기대하는 보상의 크기 및 달성 시기에 대한 비교 : 스타트업 구성원이 더 빠른 시기에 더 많은 리턴을 기대
“성장”의 목표는 무엇인지 설문 결과
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연봉에 도달하는 시기 비교
근속 5년, 10년 차에 기대하는 연봉 비교
근속 연수, 이직율 - 안정적인 근무 환경 보다 빠른 성장 및 보상 기대
분석 결과(인터뷰 영상 클립 삽입)
스타트업 환경에서는 구성원들이 상대적으로 더 빠른 성공(금전적, 사회적 지위)을 기대하며 그를 위해 성장 및 권한이라는 가치가 충분히 체감될 수 있기를 기대함
스타트업 구성원들에게는 타 유형대비 빠른 템포를 유지하면서 가치 실현을 위한 세부 전략 수행이 필요
[결론] 스타트업 동기 부여 전략 방안 제안 - 예를 들어 E.X.P.E.C.T
“속도”, “기대”을 핵심 목표로 구성 요소 정의(영단어 앞자를 따서 하나의 단어로 만들기)
권한과 책임(Ownership, Controllability) : 대기업 대비 높은 직급 및 역할 부여, 여기선 더 크고 중요한 역할을 내가 한다. 이는 내가 상상한 모습으로 더 빨리 가고 있는 느낌을 줄 수 있다. / 현실적으로 마이크로매니징을 할 수 없는 상황. PM, PO 적극 활용 / 자율성에 대한 책임. 어디까지 질 것인가.
금전적 보상(High level of expected Reward, Payment) : 스톡옵션을 포함한 특정 시점 이후 기대할 수 있는 보너스 / 인센티브
소속감(Belonging, Attachment) : 이 사람들과 함께 하면 나도 능력있는 사람으로 보일 수 있지 않을 까? 우리 회사에 있는 사람들 좋은 스펙에 대단한 사람들이야.
체계(System) : 회사가 내 기대치만큼 체계가 갖춰지는 모습이 빠르게 보여져야 한다.
비전(Company Vision, Message) : 내가 생각하는 모습과 일치하는, 혹은 기대하는 회사의 미래 모습에 대한 대표의 비전, 메시지